aghkuh1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23일차] locale 설정과 hreflang 설정의 차이점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모든 국가country-flag
  • IT

작성: 2025-01-19

업데이트: 2025-01-22

작성: 2025-01-19 14:55

업데이트: 2025-01-22 14:43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23일차] locale 설정과 hreflang 설정의 차이점

내가 만든 홈페이지에는 hreflang 설정이 잘 되어 있다.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23일차] locale 설정과 hreflang 설정의 차이점

두루미스도 hreflang 설정을 잘 해 놓았다."

웹사이트를 다국어로 운영할 때, locale 설정hreflang 설정은 자주 접하게 되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다. 이 두 설정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목적과 사용되는 방식이 다르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두 설정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locale 설정이란?

locale 설정은 웹사이트에서 언어와 지역화된 형식을 정의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웹페이지가 특정 언어나 지역에 맞춰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로 된 웹페이지라면 날짜 형식이나 숫자, 시간대 등이 한국 기준에 맞게 설정된다.

가장 기본적인 예는 HTML의 <html lang="..."> 속성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속성을 통해 페이지가 사용하는 주요 언어를 지정하고, 그에 맞는 지역화된 콘텐츠를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어로 된 페이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lang="ko"를 설정한다: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한국어 웹사이트</title>
</head>
<body>
<h1>안녕하세요!</h1>
</body>
</html>


이렇게 설정하면, 해당 페이지는 한국어로 된 콘텐츠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숫자나 날짜 형식도 한국에 맞춰 표시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언어와 지역에 맞는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hreflang 설정이란?

hreflang 설정은 검색 엔진 최적화(SEO)와 관련이 있다. 다국어 또는 다국적 사이트에서는 특정 언어와 지역에 맞는 페이지를 검색 엔진에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설정을 통해 검색 엔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지역에 맞는 콘텐츠를 적절히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콘텐츠가 영어, 한국어, 일본어로 각각 다른 페이지에 있을 때, hreflang을 사용해 각 페이지가 어떤 언어와 지역을 타겟으로 하는지 명시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태그는 <link rel="alternate" hreflang="...">이다.

다음은 영어, 한국어, 일본어 페이지 간의 연결을 hreflang을 사용해 설정하는 예시이다:

html
⁠⁠⁠⁠⁠⁠⁠
<head>
<link rel="alternate" hreflang="en" href="https://example.com/en/" />
<link rel="alternate" hreflang="ko" href="https://example.com/ko/" />
<link rel="alternate" hreflang="ja" href="https://example.com/ja/" />
</head>
이렇게 설정하면,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언어와 지역에 맞는 페이지를 검색 결과에 정확히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검색을 한다면 한국어 페이지가, 일본에서 검색을 한다면 일본어 페이지가 검색 결과로 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locale과 hreflang 설정의 차이점

locale 설정과 hreflang 설정은 목적이 다르다. locale 설정은 페이지 내에서 언어와 지역화된 콘텐츠를 제대로 보여주기 위한 설정이고, hreflang 설정은 검색 엔진에 페이지의 언어 및 지역 정보를 알려주어, 다국어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서 정확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설정다.

locale 설정은 사이트에서 콘텐츠가 어떤 언어로 표시될지를 결정하며, 해당 언어에 맞는 형식(날짜, 숫자 등)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hreflang 설정은 다국어 또는 다국적 페이지가 있을 때, 검색 엔진에 각 페이지가 어떤 언어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결론

웹사이트에서 locale 설정과 hreflang 설정을 잘 활용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locale 설정은 페이지의 언어와 지역화된 콘텐츠를 정확히 표시하는 데 유용하며, hreflang 설정은 다국어 사이트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두 설정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웹사이트의 사용자 경험과 SEO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