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hkuh1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22일차] 목차는 어떤 위치에 있어야 할까?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모든 국가country-flag
  • IT

작성: 2025-01-18

업데이트: 2025-01-18

작성: 2025-01-18 17:44

업데이트: 2025-01-18 17:45

목차의 위치를 정하는 일은 정말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들었다. 아마 두루미스도 자동 요약을 위에 배치할지, 아래에 둘지 고민을 많이 했을 것이라고 추측해본다. 목차를 고민하는 과정은 이와 비슷한 맥락이었다. 우선, 마음에 드는 목차를 고르는게 너무 어려웠다. 선택의 폭이 생각보다 넓었지만, 내가 고른 워드프레스 테마랑 어울리는 목차를 찾기가 너무 어려웠다. 그 탓에 플러그인을 지웠다가 다시 설치한 목차 갯수만 10개만 넘는다. 결국 무료 플러그인을 하나 골랐고, 그 설치 이후의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22일차] 목차는 어떤 위치에 있어야 할까?


목차를 워드프레스 콘텐츠에 배치할 때, 그 위치는 사용자 경험(UX)과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목차를 페이지 상단에 배치할지, 첫 번째 H2 태그 위에 배치할지는 콘텐츠의 목적과 독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다르다. 두 가지 옵션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어떤 경우에 각각 적합한지 정리했다.


목차를 페이지 상단에 배치 (페이지 첫줄에)

목차를 페이지 상단에 배치하면 독자가 콘텐츠를 열자마자 글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긴 글이나 상세한 가이드처럼 많은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에 적합하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 측면에서도 목차가 상단에 위치하면 검색 엔진이 이를 강조해 리치 스니펫(Rich Snippet)으로 표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FAQ나 튜토리얼처럼 특정 정보를 즉시 찾아야 하는 콘텐츠에서도 유용하다.


장점으로는

독자가 글의 구조를 처음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목차를 클릭해 원하는 섹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UX가 향상된다.

검색 엔진이 목차를 강조해 검색 결과 노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단점으로는

목차가 첫 화면을 차지하면서 주요 내용이 뒤로 밀릴 수 있다.

목차가 너무 길 경우, 독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목차를 첫 번째 h2태그 위에 배치하는 경우

(참고로 h1 태그는 블로그 제목이다) 목차를 첫 번째 h2태그 바로 위에 배치하면 서론을 읽고 난 뒤 자연스럽게 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 기반 콘텐츠나 짧은 글에 적합하며, 독자가 서론을 읽으며 흥미를 느낀 뒤 본문으로 넘어가는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짧은 콘텐츠의 경우 목차가 상단에 있으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이 위치가 더 적합하다.


장점으로는

서론을 읽은 후 목차를 확인하므로 자연스러운 독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목차가 독자에게 시각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는다.

콘텐츠와 디자인의 조화를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독자가 처음부터 목차를 보지 못하므로 탐색성이 약간 떨어질 수 있다.

검색 엔진이 목차를 상단에서 인식하지 못할 경우, SEO에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다.


목차와 SEO(검색 노출)의 관계

목차의 위치는 SEO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목차의 구성 방식이 더 중요하다. 검색 엔진 크롤러는 HTML 구조를 분석하여 색인한다. 목차가 상단에 있으면 크롤러가 문서 구조를 더 쉽게 이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목차를 또는 태그로 구성하면 검색 엔진이 이를 잘 인식하고, 검색 결과에서 스니펫으로 표시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검색 엔진은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순위 요소로 사용합니다. 목차가 탐색하기 쉬운 위치에 있으면, 독자가 더 오래 머물고 페이지를 더 많이 탐색할 가능성이 커진다. 목차가 상단에 있고 잘 구성되었다면, 검색 결과에서 섹션별 링크가 표시되어 클릭율(CTR)이 증가할 수 있다.


결론! 어떤 위치가 더 좋을까?

목차의 위치는 콘텐츠의 목적과 독자의 니즈에 따라 다르다. 긴 글이나 기술 문서의 경우 목차를 페이지 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빠른 탐색과 SEO 측면에서 유리하다. 반면, 짧거나 스토리 중심 글의 경우 목차를 첫 번째 H2 태그 위에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지하자!

가장 중요한 것은 목차의 위치보다는 구조적 완성도와 독자 친화성이다. (체류 시간) 목차를 통해 독자가 쉽게 탐색할 수 있고, 검색 엔진이 이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면, 어떤 위치를 선택하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론은 글 내용이 좋아야 하며, 좋은 글이 최선의 노출 방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