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hkuh1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7일차] 번역 플러그인 고민 문제 해결!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모든 국가country-flag
  • IT

작성: 2025-01-02

업데이트: 2025-01-18

작성: 2025-01-02 02:03

업데이트: 2025-01-18 09:44

하위 디렉토리로 가야 할지, 하위 도메인으로 가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지만, 어떤 번역 플러그인을 사용할지도 많이 고민했습니다.


저는 개발자가 아니기 때문에 최대한 간단한 방향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호환성이 좋고, 사후 지원이 잘 이루어지는 플러그인을 선택했습니다. GTranslate 플러그인은 자동화가 잘 되어 있고, 문제가 발생하면 회사 측에서 모든 설정을 처리해줍니다. 가격도 크게 부담되지 않았습니다.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7일차] 번역 플러그인 고민 문제 해결!

국가 도메인(ccTLD) 방식과 서브도메인 방식은 399달러 구독을 구매해야 합니다.


서브 디렉토리 방식은 199달러 또는 299달러 요금을 구매해야 합니다.

둘의 차이는 고유주소가 다국어로 번역이 되는지 안되는지 여부 입니다.

두루미스 같은 경우는 고유주소가 모두 영문으로 되어 있지만, 나머지 언어도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영어는 299달러 요금제, 나머지 언어는 199달러 요금제 입니다.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일기 - 7일차] 번역 플러그인 고민 문제 해결!


저는 스타트 업 요금제를 1년 결제 했습니다.

노출에는 하위 도메인 방식이 월등하게 유리하지만, 하위 도메인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같은 작업을 49번 해야 합니다. 호스팅을 관리하면서, 무슨 일을 생길때 마다 49번씩 수정할 자신이 ..... 없습니다.


여기서 질문!! 왜 49번 일까요?


지구에는 195개 국가가 있습니다. 하지만 애드센스가 가능한 국가는 49개 국가 입니다. 또 질문!! 왜 두루미스는 49개 국가의 언어를 운영하지 않고, 18개의 언어만 지원할까요?

그것은 아마 예산 문제라고 추측됩니다. 아무래도 스타트업이다 보니,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인건비, 임대비, 서버비 등등. 부담이 클거에요. 그리고 결정적으로 "아랍어"를 다루지 않고 있는데, 아랍어 구현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아랍어, 히브리어, 우르드어 등등. 공통점이 뭘까요? 이들은 좌우가 바뀐 언어 입니다. 그래서 아랍어는 코드를 사용해서 구현은 가능하지만, 그걸 검토하려면, 현지 사람이 필요해요. 의사소통 가능한 아랍 사람에게 코드 구현이 제대로 되어, 의미 전달이 정확히 되었나 그것을 확인해야 해요. 근데 아랍 사람을 구하기 어렵고, 아랍어 검수를 못하기 때문에 아랍어를 지원하지 않았나 조심스럽게 "추측" 해봅니다! 그리고 나머지 30여개의 언어를 지원하지 않는 이유는 돈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애드센스 단가가 낮고, 인구가 많지 않은 국가이기 때문에 개발 노력에 비해 수익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 아닐까 강하게 "추측" 해봅니다. 그러므로 두루미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저도 두루미스 개발자님들 처럼 고민을 겁나 했습니다. 결제를 하기 전에 고민에 고민에 고민에 고민을 했습니다.


1. 399달러 요금제 구독: 하위 도메인 방식으로 49개 언어를 모두 운영.

2. 399달러 요금제 구독: 하위 도메인 방식으로 일부 언어만 운영.

3. 299달러 요금제 구독: 하위 디렉토리 방식으로 운영하며, 고유주소를 49개 언어로 번역해 운영.

4. 299달러 요금제 구독: 하위 도메인 방식으로 일부 언어만 운영하며, 고유주소를 번역해 운영.

5. 199달러 요금제 구독: 하위 디렉토리 방식으로 운영하며, 고유주소를 최대한 간단하게 설정해 49개 언어로 운영.


경우의 수가 무궁무진합니다! 저는 5번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3번과 5번은 무려 100달러의 차이가 나더군요. 고유주소를 현지 언어로 발행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저는 다른 전략을 세웠습니다. 저는 콘텐츠 품질과 SEO 노출 전략에 더 집중하기 위해 199달러 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고유주소는 숫자로만 발행할 계획입니다. 추후 시간적 여유가 생긴다면, 주제를 달리하여 다국어 홈페이지를 3개까지 운영해볼 생각입니다.

5번 방법 예시

durumis.com/1
durumis.com/ar/1
durumis.com/hi/1
durumis.com/fr/1



1번 방식으로 1개 운영하는 것 보다는 5번 방식으로 3개 운영하는게 더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졸립네요. 다음에 뵐게요~



다국어 홈페이지 제작 진행율 90%

⁠⁠⁠⁠⁠⁠⁠





댓글0